728x90 SMALL 전체 글135 행위의 중요성을 어디에 두고 있는가? 우린 여러 행동들을 하며 살아간다 행위에 대한 중요성을 어디에 맞추어 생각하고 있는가? 그런 행위의 옳고 그름을 어떻게 판단하는가? 이런 행위에 대해 목적과 의미를 두며 하고 있는가? 이런 판단은 우리 자신의 것이다. 1. 행위의 중요성을 어디에서 찾는가? 대부분의 우리들은 희한하게도 각자의 마음대로 행위의 무겁고 가벼움을 정해 버리곤 한다. 큰일을 했다거나 혹은 작고 사소한 일밖에 하지 못했다는 식으로 단정한다. 우리들은 우리가 하지 않은 일에 대해 후회를 하며 살아간다. 하지 않은 행위인데도 그때의 시점에서 그 일은 큰일이었고 중요한 일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때 그 일을 했더라면 지금의 상황이 한결 나아졌으리나는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우리는 우리가 한 행동과 그렇지 않은 행동들의 경중을 스스로 결정해.. 2022. 7. 19. 타인의 부탁보다 우리 삶이 더 중요하다. 삶을 살아가는 동안 수없이 많은 부탁을 받는다. 이를 전부 수용하기란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그리 풍족하지 않다. 적정한 거절과 수용이 조화를 이룰 때 우리 삶은 더욱 자연스러워질 것이다. 거절을 부담 스러워 하지 말자. 타인의 부탁보다 우리의 삶이 더 중요하다. 1. 약자심리에 삶을 살고 있지 않은가요? 왜? 우리는 다른이의 부탁을 받으면 당당하게 거절을 하지 못하는 것일까? 부탁한 이의 감정이 상할까 두려운 마음과 상대방이 나를 매정하고 예의 없는 사람이라고 비난할까 두렵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두려움은 인간관계에 대한 불안심리에서 오는 것 같다. 일언지하로 거절하면 인간관계가 불안해지고 친구 사이가 멀어진다고 생각한다. 부탁을 거절하지 않음으로 타인의 인정을 받고 인간관계에서 긍정적으로 상호작용을 .. 2022. 7. 18. 감정통제로 삶을 발전시킬수 있다. 완벽하지 않은 우리들이 성장하는 방법 중 하나는 감정 통제이다. 자신의 마음을 돌보는 시간을 내어 마음에서 오는 소리에 집중해 보자. 그리고 나의 몸과 마음에 주인이 되어 보자. 1. 감정을 컨트롤하다. 우리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부분 쉽게 화를 내거나, 신경질적 이거나, 우린 이런 성격을 가진 부분에 대하여 이 성격이 절대 변하지 않을 거라고 믿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 인간이 완전히 성장해 버렸다는 뿌리 깊은 생각이 있기 때문이다. 사람의 성격은 바꿀 수 없다고 여기고 있다. 그러나 화라고 하는 것은 한순간의 충동이기 때문에 자신이 마음먹은 대로 처리할 수도 있다. 화를 그대로 분출시키면 참을성이 없고 성질이 조급한 사람의 행동이 된다. 그런데 다른 형태로 바꾸어 표현할 수도 있다. 억누르며 사라질 때.. 2022. 7. 17. 우린 사회적 동물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이 말은 우리가 교육과정중 한번쯤은 들어보고 배운 내용이다. 일생을 살아가며 무수히 많은 인간관계를 맺고, 맺었던 관계를 단절 하기도 한다. 관계속에서 감동을 느끼며, 본인이 원하는 것을 찾으려 한다. 순수한 아이들에게 있어 친구란 그저 함께 놀이를 하는 상대방 이 될것이다. 삶을 살아가며 어른들의 인간관계로 목적과 의미를 두게 되는 것이다. 1. 말과 접촉으로 감동을 느끼다.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은 사랑이나 우정을 표현하는 매체가 이전과는 달라진 모습이다. 만남과 대화로 나누었던 관계의 모습은 점점 기계로 대체되고 있는 듯하다. 대면 접촉 없이도 소통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런 시대 변화로 인해 얼굴을 마주 대한 상황에서도 기계에 대한 유혹을 이겨내지 못하는 사람들.. 2022. 7. 16. 암시는 우리의 마음을 결정한다. 우리들의 의식은 긍정 암시와 부정 암시로 나누어진다. “암시란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전해 지는 생각을 말한다. 우리들의 의식에 박혀있는 부정 암시는 제거하고 긍정 암시의 자리를 넓혀 나가야 한다. 1. 암시란 전해지는 생각이다. 인간은 순결하고 고귀한 존재로 태어나 부모의 손에서 자라나고 있다. 부모의 양육으로 한 아이의 “암시”는 시작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한 아이가 태어나 긍정적인 삶을 살아가는가, 아님 부정적인 생각으로 살아가는 가는 부모의 영향이 큰 것이다. 부모의 양육과 동시에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인간관계를 맺게 되는 데 인간관계 속에서도 수없이 많은 “암시”들로 삶의 영향을 받곤 한다. “긍정적 암시”는 우리의 삶을 발전시키고 모든 것을 이룰 가능성을 높여주지만, “부정적 암시”는 우리의 삶.. 2022. 7. 15. 타인을 향한 사랑과 나를 사랑하는 마음은 같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며 느끼는 감정중 가장 애틋하고 마음 아픈 사랑이라는 것에 대해 진지한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다. 많은 이들이 사랑은 그저 본인의 마음으로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만, 사랑은 상대방과의 소통과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려 보는 곳에서 시작된다.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하는 마음도 이와 같다. 다른 이들과 비교하며 살아가는 삶을 버리고 나 자신을 사랑하자. 1. 사랑은 기뻐하는 것이다. 사랑이란 자신과는 다른 방법으로 살고 느끼는 사람을 만나며 이해하며 그 모습에 기뻐하는 것이다. 자신과 닮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떨어져 있는, 자신과 대립하여 살아가는 사람에 대한 기쁨을 이어주는 것이 사랑이다. 차이가 있더라도 부정하지 않고 그 차이마저 사랑한다.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마 친가지.. 2022. 7. 14. 이전 1 ··· 19 20 21 22 23 다음 728x90 LIST